위로의 하나님
- 김광철 목사
- Feb 25, 2018
- 2 min read
“사람들이 살아난 청년을 데리고 가서 적지 않게 위로를 받았더라” (사도행전 20:12)
바울과 그 일행은 빌립보를 거쳐 드로아에 도착합니다. 거기서 일주일을 머물며 성도들에게 말씀을 가르칩니다 (6,7절). 사도 바울의 말씀강론은 아주 긴 시간 계속되었습니다. 첫번째 강론은 해질때부터 한밤중까지 계속되었고 (7절), 두번째는 한밤중부터 날이 새도록 계속되었습니다 (11절). 바울의 강론이 밤 늦게까지 진행되자 3증 창가에 걸터앉아있던 유두고라는 청년이 떨어져 죽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9절).바울은 자신의 몸을 그 죽은 청년의 몸에 엎드리고 그 몸은 안았습니다 (10절). 이러한 행동은 구약에서 죽은이를 다시 살릴때 엘리아와 엘리사 선지자가 한 행동과 유사합니다 (왕상 17:19-22; 왕하 4:34-35). 이를 통해 바울은 유두고(“lucky one/행운아”의 뜻)를 살려냅니다. 이것은 사도행전에 기록된 바울이 행했던 마지막 기적이었습니다.
이후부터 바울은 고난을 통해 복음을 증거합니다. 그래서 바울은 “내 몸에 예수의 흔적을 지니고 있노라”말합니다 (갈 6:17). 왜 하나님께서는 신실하게 복음을 증거하는 바울의 삶 가운데 기적만을 베풀지 않고 몸에 고난의 상처의 흔적이 남아있을만큼 고난을 허락하십니까? 우리는 그 이유는 잘 모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눅 9:24). 그러나 기적을 베풀때나 고난가운데 두실때나 하나님께서 신실하게 주를 위해 일하는 당신의 종들에게 언제나 “위로”를 하십니다.
그래서 주께서는 기적을 통해 당신의 종들을 위로하셨습니다. 그래서 유두고를 살리는 기적을 경험한 성도들은 “위로를 적지 않게” 받았다고 말씀합니다 (12절). 그러나 사도바울은 고난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는 자신을 위로하셨다고 말합니다. “우리가 환난 당하는 것도 너희가 위로와 구원을 받게 하려는 것이요 우리가 위로를 받는 것도 너희가 위로를 받게 하려는 것이니 이 위로가 너희 속에 역사하여 우리가 받는 것 같은 고난을 너희도 견디게 하느니라” (고후 1:6). “우리가 마게도냐에 이르렀을 때에도 우리 육체가 편하지 못하였고 사방으로 환난을 당하여 밖으로는 다툼이요 안으로는 두려움이었노라/ 그러나 낙심한 자들을 위로하시는 하나님이 디도가 옴으로 우리를 위로하셨으니…” (고후 7:5, 6).
우리가 주님을 신실히 따를때 우리의 주님께서는 죽은 유두고를 살리는 기적과 같은 기적을 우리에게 베푸심으로도 우리를 위로하시지만, 극심한 고난가운데서도 그 고난을 충분히 이겨나갈수 있도록 위로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만 할 것입니다.
Recent Posts
See All“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누가복음 20:25) 하루는 대제사장, 서기관 바리새인들이 연합해서 예수님을 책잡아 로마 총독에게 넘겨서 죽이려는 목적으로 예수님께 나아와서 질문을...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나님의 사자들 앞에 기쁨이 되느니라” (누가복음 15:10). 예수님 당시 종교지도자들이자 자신은 거룩하고 정결하게 산다고 자부했던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죄인과 세리들과 어울리자...
“나는 자비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하신 뜻을 너희가 알았더라면 무죄한 자를 정죄하지 아니하였으리라.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니라 하시니라” (마태복음 12:7,8) 바리새인들은 안식일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밀밭 사이로 지나가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