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과 축복
- 김광철 목사
- Feb 17, 2020
- 2 min read
“그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계심을 우리가 분명히 보았으므로 우리의 사이 곧 우리와 너 사이에 맹세하여 너와 계약을 맺으리라 말하였노라” (창세기 26:28).
이삭이 하나님의 축복으로 거부가 되었을때 블레셋 사람들이 시기했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이 판 우물을 더이상 쓰지 못하도록 다 막아버렸습니다 (13-15절). 그리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그 땅의 왕인 아비멜렉은 자신들보다 더욱더 강성해진 이삭을 떠나라고 말했습니다 (16절).
하나님의 축복과 그로인한 시기로 인해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생명줄 과도 같은 우물물이 못쓰게 되었고 사는 곳에서 떠나라는 말을 들었을 때 이삭은 그들과 다투지 않고 아무 말 없이 그곳을 떠나 그랄 골짜기로 옮겼습니다 (17절). 그리고 그곳에서 다시 샘을 파서물을 얻었으나 그랄 사람들이 그 우물을 빼앗아갔습니다.
그러나 이삭은 그들과 다툼을 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옮겨 다시 우물을 팠습니다 (18-20절). 그 곳에서도 이삭은 판 샘에서 물을 얻었습니다. 그리고 그 우물로 인해 다툼이 일어났고 이삭은 다시 그 우물을 양보합니다. 그리고 그곳을 “싯나” (대적함) 이라고 명명합니다. “싯나”는 히브리어로 “시트나”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시트나” 는 히브리 동사인 “사탄” (반대하다/ 명사로서 사탄은 “적” 혹은 ‘반대자”를 뜻한다) 과 연관되어 있는 단어입니다. 그들이 이삭에게 한 일은 바로 사탄이 하는 일과도 같았다는 말입니다. 그러한 어려움 속에서 이삭은 그들과 싸움을 하지 않고 다시 다른 곳으로 옮겨서 또 다른 우물을 파서 물을 얻습니다. 그래서 그곳을 “르호봇” (넓은 곳) 이라고 명명했습니다.
이삭은 왜 자신의 옮음을 주장하며 블레셋의 그랄 사람들과 싸우지 않고 몇 번씩이나 그 귀한 우물을 순순히 포기할 수 있었습니까? 하나님께서는 언약하신 대로 자신을 축복할 것임을 믿었기 때문이며 하나님의 함께 하심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3절,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믿음으로 산다면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고 그때는 어디로 가야만이 축복이되는가?를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어디로 가던지”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기 때문입니다 (여호수아 1:9).
그러므로 축복은 내가 쟁취하는 것이 아닙니다. 말씀을 순종하며 믿음로 살 때 하나님께서 은혜로 우리에게 베푸시는 것입니다. 이삭이 이러한 믿음으로 살았을 때 하나님께서 계속해서 이삭을 축복했고 아베멜렉과 그땅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이삭과 함께 하심을 보았습니다 (28절). 그래서 이삭과 잘 지내보려고 그와 함께 언약을 맺기를 원했습니다.
그러므로 믿음이 이깁니다. 축복은 상대를 무너뜨림으로 내가 쟁취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며 믿음으로 살아갈 때, 그 믿음을 통해 하나님께서 은혜를 우리에게 베푸심으로 주어지는 것입니다.
Recent Posts
See All“이르시되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하시니…” (누가복음 20:25) 하루는 대제사장, 서기관 바리새인들이 연합해서 예수님을 책잡아 로마 총독에게 넘겨서 죽이려는 목적으로 예수님께 나아와서 질문을...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와 같이 죄인 한 사람이 회개하면 하나님의 사자들 앞에 기쁨이 되느니라” (누가복음 15:10). 예수님 당시 종교지도자들이자 자신은 거룩하고 정결하게 산다고 자부했던 바리새인들과 서기관들은 죄인과 세리들과 어울리자...
“나는 자비를 원하고 제사를 원하지 아니하노라 하신 뜻을 너희가 알았더라면 무죄한 자를 정죄하지 아니하였으리라. 인자는 안식일의 주인이니라 하시니라” (마태복음 12:7,8) 바리새인들은 안식일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밀밭 사이로 지나가다가...